가용성
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
SLA(Servie Level Agreement, 서비스 수준 협약)
Azure 상 리소스의 작동 시간 및 연결을 보장하는 서비스
가용성 영역
Azure 지역 내에서 물리적으로 별도의 영역
- 지원되는 Azure 지역 당 3개의 가용성 영역 존재하여 1~3개 중 선택 가능
- 각 가용성 영역에는 고유한 소스, 네트워크 및 냉각 장치가 존재
- 영역에 복제된 VM을 사용하는 솔루션을 설계하여 데이터 센터의 손실로부터 앱과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음.
데이터 센터 단위로 영역 구분을 함.
가용성 집합
중복성과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Azure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빌드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VM의 논리적 그룹
- 한국에서는 아직 지원되지 않음.
- 가상 머신 생성되면 이후로 추가되지 않으니, 반드시 생성할 때 추가해야 함.
- 최대 3개의 Fault Domain(장애 도매인), 20개의 Update Domain(업데이트 도메인) 가능
- 고가용성을 지원받기 위해선 하나의 가용성 집합 안에 최소 2 이상의 VM을 생성해야 함.
렉 단위로 영역 구분을 함.
가용성 영역 | 가용성 집합 | |
구분 단위 | 데이터 센터 단위로 분산 | 렉 단위로 분산 |
SLA | 99.99% | 99.95% |
'용어 정리 > 클라우드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zure] Bastion (0) | 2021.12.08 |
---|---|
Cloud(클라우드 컴퓨팅) / On-Primise(온프레미스) (0) | 2021.11.23 |